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국 소매협회 글로벌 표준' 인증이 필요한 기업의 조건과 산업군

반응형

BRCGS 인증이 필요한 기업의 조건과 산업군

BRCGS는 식품 제조사만의 기준일뿐만 아니라 수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부터 유통, 포장, 물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군에서 요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처의 요구에 따라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어떤 기업과 산업군이 BRCGS 인증을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실제 적용되는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RCGS 인증이 요구되는 주요 기업 유형

BRCGS 인증은 기본적으로 식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시작되었지만, 그 범위는 빠르게 확장되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대상은 유럽·북미 대형 유통업체와 거래하려는 수출기업입니다. 예를 들어 Tesco, Sainsbury’s, Walmart 등은 영국 소매협회 글로벌 표준 인증 보유 여부를 주요 납품 조건으로 제시하며, 실제 거래 성사 여부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OEM 또는 ODM 방식으로 납품하는 국내 제조업체도 주요 대상입니다. 브랜드사가 유통망에 입점하려면 원료 또는 제품 생산 공장의 영국 소매협회 글로벌 표준 인증이 필수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식품 안전에 민감한 프랜차이즈 본사, 홈쇼핑, 대형마트 등도 거래사에게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위험군 제품(육류, 가공식품, 생식류, 유제품 등)을 취급하거나, 저장성 짧은 제품, 고객 클레임이 잦은 제품군을 생산하는 기업도 식품안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인증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업의 규모와 무관하게 ‘신뢰 기반의 거래’가 필요한 경우라면, 영국 소매협회 글로벌 표준 인증이 거의 필수 요건으로 여겨집니다.

인증이 적용되는 산업군과 세부 기준

BRCGS는 단순히 식품 제조기업만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다양한 산업군에 맞춘 세부 프로그램(Scope Program)을 운영하고 있어, 업종별로 특화된 기준이 적용됩니다. 현재 적용 가능한 주요 산업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식품 제조(Food Safety):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이며, 원재료 관리, 제조공정, 위생 및 품질 시스템 등을 포함합니다.
  • 포장재 제조(Packaging Materials): 포장 필름, 용기, 병뚜껑, 라벨 등을 생산하는 업체가 대상이며, 재질 안전성, 인쇄 위생, 이물 혼입 방지 등이 심사 요소입니다.
  • 창고 및 물류(Storage & Distribution): 물류센터, 냉동창고, 운송 업체 등이 포함되며, 온도관리, 추적성, 오염 방지 등이 중요합니다.
  • 소비재(Consumer Products): 식품 외 소비재 제품(주방용품, 위생용품 등)도 글로벌 유통 입점 시 인증이 요구됩니다.
  • 에이전트 & 중개인(Agents & Brokers): 제조는 하지 않지만 유통/중개하는 기업도 공급망 관리 차원에서 인증이 필요합니다.

각 산업군은 공통적으로 품질관리, 트레이서빌리티, 리스크 평가, 고객 요구사항 반영, 사후조치 시스템 등을 갖춰야 하며, 업종에 따라 요구 수준과 심사 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증 필요성 판단을 위한 체크포인트

BRCGS 인증이 실제로 필요한지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점검해 볼 수 있습니다.

  • ① 해외 수출 또는 유통사 입점이 목표인가?
    유럽/북미 진출 시 거의 필수 요건이며, 인증 유무에 따라 납품 기회가 갈릴 수 있습니다.
  • ② 고객 또는 바이어가 인증을 요구하는가?
    계약 조건에 포함되어 있거나, 입찰 시 가산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③ 식품 안전 사고 또는 고객 클레임 리스크가 높은 제품군인가?
    유제품, 육가공품, Ready-to-eat 제품 등을 제조할 경우 사전 리스크 예방 차원에서 필요합니다.
  • ④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싶은가?
    인증 마크 활용으로 소비자 신뢰 확보 및 마케팅 전략에 활용 가능합니다.
  • ⑤ 기업 내부 품질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았는가? BRCGS 도입을 계기로 SOP, 위생관리, 교육 체계 등을 표준화할 수 있습니다.

위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지금부터 BRCGS 인증 도입을 전략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요구가 아닌 선택, 하지만 곧 필수

BRCGS 인증은 기업 스스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과거에는 대형 수출기업만의 이슈였지만, 이제는 중소기업, 스타트업, 물류회사에 이르기까지 시장 진입과 생존을 위한 신뢰 기반의 필수 조건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인증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를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시장 기회, 고객 신뢰, 운영 체계의 개선입니다. 우리 기업이 어디에 서 있는지를 진단하고, 어떤 목표를 추구하느냐에 따라 BRCGS는 ‘강요된 인증’이 아니라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